분류 전체보기 5

250409 Today's Career Growth Journal

오늘 내가 해낸 것: 약속 가기 이전에 러닝과 코딩테스트 한 문제 풀기 완료한 것 내가 ‘나’답다고 느꼈던 순간: 아침에 일어나서 러닝하고 앉아 코딩 테스트를 푼 것. 오늘 마주한 도전은 무엇이며, 나는 그 속에서 무엇을 배웠나요?: 아침에 눈을 떴을 때 피곤해서 러닝을 하기에 최상의 몸 상태는 아니었음. 하지만 커피를 마시고 적당한 페이스로 뛰고나니 오히려 에너지가 생김. 아주 잠이 모자라지 않는 것이 않다면, 그 상태에 맞춰 여유있게 러닝하기 내 커리어 성장에 도움이 될 작은 실행은 무엇인가요?: 지원 기업들 에세이 적어도 한 개 정성들여 쓰고 마무리 오늘 내가 경험한 일 중에 감사할 수 있는 점은 무엇인가요?: 해외에 거주하는 친구를 정말 오랜만에 볼 수 있었던 것. 만났을 때 편하고 모든지 할 수..

[캐글 메달리스트가 알려주는 캐글 노하우] 3장 IEEE - CIS Fraud Detection 정리

1. Keyword지불거절, Count Encoding, TimeSeries Split, GroupKfold, StratifiedKfold2. IEEE - CIS Fraud Detection 컴피티션 개요 주제사기 거래 탐지 대회 유형Research 제출 방식Simple Competition문제 유형이진 분류(Binary Classification)데이터 타입정형(Tabular)평가 지표AUC(Area Under the Curve) 대회 목적거래단계에서 사기탐지를 강화해 지불 거절을 줄이기 위해 대회 주최지불거절(Chargeback) 개념1. 이상 거래가 발생했다고 느낀 고객이 카드사에 문제 제기 (ex. 자신이 결제하지 않았는데 물건이 결제된 경우)2. 신고를 접수받은 카드사는 카드 결제사(ex. VI..

Data/Data Science 2025.03.03

[캐글 메달리스트가 알려주는 캐글 노하우] 2장 Instant Gratification 정리

현재 를 가지고 스터디를 하고 있어 매 장 정리해보고자 한다. 1. Keyword이진 분류, AUC, 스태킹, GMM, Hist Feature2. Instant Gratification 개요Competition Summary 주제(대회 목적)  Code competition 피드백대회 유형featured제출 방식code competition문제 유형이진 분류(Binary Classification)데이터 타입정형(Tabluar)평가 지표AUC(Area Under the Curve)캐글이 클라우드 환경을 도입하며, 다양한 방식의 컴페티션 시도이 중 ‘2단계 컴페티션(Two-Stage Competition)’은 컴페티션 테스트 검증 과정을 두 단계로 나누어, 첫 단계에서는 공개(public) 테스트 셋, 다..

Data/Data Science 2025.03.02

<데이터를 엮는 사람들, 데이터 과학자> - 권정민

데이터 분석가 취업을 준비하고, 인턴을 하면서 '내가 되고 싶은 데이터 분석가는 무엇일까?'에 대한 답이 명확하게 나오지 않아 답답했다. SQL 쿼리를 잘 짜는 사람? 대시보드를 잘 만드는 사람? 문제를 분석해서 A/B테스트 또는 가설 검정을 잘하는 사람? 데이터를 탐색하고, 정리하고, 여기에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과정이 재밌어서 이것을 파보아야겠다 생각했지만 그래서 내가 데이터를 가지고 어떤 것을 하고 싶은지, 어떤 데이터 분석가가 되고 싶은지에 대한 답은 없었다.(현재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보게 된 책. 데이터 공모전이나 캐글 데이터를 다루다보면 항상 느끼는 점. 데이터들이 얼마나 다양한 상황에 있는지 고려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누군가의 특정한 패턴이나 상황을 알아내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통해 경..

Data/Books 2025.02.08

<로지컬 씽킹> - 데루야 하나코, 오카다 게이코

데이터 분석가에게 매끄럽고 탄탄한 논리는 기본이다. 데이터 분석가가 아니더라도 직장생활을 하면 어떠한 형태로든 커뮤니케이션을 피할 수는 없다.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논리 구조를 명확히 알려주는 책 신문/책 읽을 때 So What?/Why So? 질문하는 습관 기르기 대학생 시절 학회를 할 때, 이 프레임워크를 알았으면 훨씬 더 그 시간을 논리 훈련에 사용할 수 있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당시에는 기업/케이스 분석을 할 때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서 머릿속에 산재된 것들을 정리하기 어려웠다. 지금부터라도 의식적인 훈련을 통해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사람이 되고싶다. 보통 어떤 논리를 접하면 항상 반대 의견 또는 단점을 생각하는 편이라 리포팅을 할 때나 의견을 전달할 때 두가지를..

Data/Books 2025.01.14